전체

· CS
0️⃣ 메모리의 주소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위치는 주소로 나타낼 수 있다. 우리는 메모리를 공부하면서 주소에 접근한다는 이야기를 정말 많이 들었을 것이다. 메모리는 CPU가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저장 장치로 CPU는 바로 이 주소값을 통해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잇는 것이다. 메모리에 주소값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는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이다. 새롭게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메모리에 쌓이고 실행이 끝난 것은 메모리에서 삭제된다. 즉 메모리에 프로세스가 적재 될 때 마다 비어있는 주소공간에 쌓이게 되므로 그 주소값 또한 매번 바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CPU가 다음으로 실행 해야할 프로그램이 메모리의 몇 번째 주소값에 저장되어있는지 실시간으로 알아내기가 어렵다.  이 문제점을..
❓ 제목머쓱이는 태어난 지 11개월 된 조카를 돌보고 있습니다. 조카는 아직 "aya", "ye", "woo", "ma" 네 가지 발음과 네 가지 발음을 조합해서 만들 수 있는 발음밖에 하지 못하고 연속해서 같은 발음을 하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문자열 배열 babbl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의 조카가 발음할 수 있는 단어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풀이class Solution { fun solution(babbling: Array): Int { val regx = "^(aya(?!aya)|ye(?!ye)|woo(?!woo)|ma(?!ma))+$".toRegex() return babbling.count{..
❓ 제목숫자나라 기사단의 각 기사에게는 1번부터 number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사들은 무기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각 기사는 자신의 기사 번호의 약수 개수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하려 합니다. 단, 이웃나라와의 협약에 의해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정하고, 제한수치보다 큰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해야 하는 기사는 협약기관에서 정한 공격력을 가지는 무기를 구매해야 합니다.(중략)기사단원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number와 이웃나라와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나타내는 정수 limit와 제한수치를 초과한 기사가 사용할 무기의 공격력을 나타내는 정수 power가 주어졌을 때, 무기점의 주인이 무기를 모두 만들기 위해 필요한 철의 무게를 return 하는 solution..
❓ 모의고사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2, 1, 2, 3, 2, 4, 2, 5, 2, 1, 2, 3, 2, 4, 2, 5,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3, 3, 1, 1, 2, 2, 4, 4, 5, 5, 3, 3, 1, 1, 2, 2, 4, 4, 5, 5,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
· Android
0️⃣ 안드로이드를 사용해본 사람으로서... 지금이야 아이폰을 쓰고 있지만 사실 안드로이드 휴대폰을 사용한지 정말 오래됐다. 10년 넘게 사용하던 Android를 바꾸게 된 계기는 정말 의아하게도 아이패드와의 연동성 때문이었는데 iCloud의 편리함에 깜빡 속아 넘어가게 된 것이다...  아이폰이 갤럭시보다 더 예쁘다, 성능이 좋다 등등의 말들은 제법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예쁜 것은 주관적인 것이고 성능은 분명 수치에 기반한 말일테니 철썩 같이 믿고 아이폰을 처음 사용 했을 때의 실망감은 이로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버그가 나고 렉이 걸리는 부분이 갤럭시와 조금 다를 뿐이지 아이폰이라고 버그가 없는 게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점점 느끼게 된 점은 '아하, Android나 iOS나 사용자 입장에선 ..
❓ 행렬의 곱셈2차원 행렬 arr1과 arr2를 입력받아, arr1에 arr2를 곱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 풀이우선 행렬의 곱셈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난 행렬의 곱셈이 도대체 뭔지 몰라서 한참을 입출력 예만 뚫어지게 쳐다보다 검색하고 나서야 알게 되었다... 나 같은 사람이 또 있을 수도 있으니...행렬의 곱셈은 이렇게 1행  1번 째 값 * 1열 1번 째 값, 1행 2번 째 값 * 2열 1번 째 값 처럼 곱하는 것을 말한다. 설명보단 그림이 확실히 이해가 빠르다. 이 곱셈을 토대로 로직을 짜면 된다.// arr1은 행으로 곱하고, arr2는 열로 곱하기class Solution { fun solution(arr1: Array, arr2: Array): Ar..
⛔ 문제사항이 Warning 문구는 단순히 텍스트를 하드코딩하지 말란 이야기인데, 단순히 TextView에서만 이러는 건 아니고 Button 등 텍스트가 들어가는 모든 위젯에서는 이러는 것 같다. 전부터 이 거슬리는 워닝을 해결하고 싶었는데 드디어 해결 방법을 알게 되었다!✅ 해결방안res/values/strings.xml 파일 내부에 텍스트를 직접 선언해주고, 다시 파일로 돌아와 내가 하드코딩 했었던 텍스트를 지우고 key 값을 넣어주면 끝이다! 안드로이드가 이렇게 하드코딩을 막는 이유는 다국어지원을 위해서라고 한다. 쉽고 유익한 해결방법...
❓ 과일 장수(중략)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풀이class Solution { fun solution(k: Int, m: Int, score: IntArray): Int { var answer: Int = 0 score.sortedDescending().chunked(m).forEach{ // println(it) // case1: [3, 3, 2, 2], [1, 1, 1] // case2: [4, 4, 4], [4, 4, 4], [2, 2, 2..
❓ 명예의 전당 (1)"명예의 전당"이라는 TV 프로그램에서는 매일 1명의 가수가 노래를 부르고, 시청자들의 문자 투표수로 가수에게 점수를 부여합니다. 매일 출연한 가수의 점수가 지금까지 출연 가수들의 점수 중 상위 k번째 이내이면 해당 가수의 점수를 명예의 전당이라는 목록에 올려 기념합니다. 즉 프로그램 시작 이후 초기에 k일까지는 모든 출연 가수의 점수가 명예의 전당에 오르게 됩니다. k일 다음부터는 출연 가수의 점수가 기존의 명예의 전당 목록의 k번째 순위의 가수 점수보다 더 높으면, 출연 가수의 점수가 명예의 전당에 오르게 되고 기존의 k번째 순위의 점수는 명예의 전당에서 내려오게 됩니다.이 프로그램에서는 매일 "명예의 전당"의 최하위 점수를 발표합니다. 예를 들어, k = 3이고, 7일 동안 진..
❓ 가장 가까운 같은 글자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s의 각 위치마다 자신보다 앞에 나왔으면서, 자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같은 글자가 어디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s="banana"라고 할 때, 각 글자들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읽어 나가면서 다음과 같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b는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 이는 -1로 표현합니다.a는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 이는 -1로 표현합니다.n은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 이는 -1로 표현합니다.a는 자신보다 두 칸 앞에 a가 있습니다. 이는 2로 표현합니다.n도 자신보다 두 칸 앞에 n이 있습니다. 이는 2로 표현합니다.a는 자신보다 두 칸, 네 칸 앞에 a가..
· Kotlin
0️⃣ 왜 switch문인데?조건문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f else 문과 switch문이 있다. 처음 코딩을 배울 때는 그냥 if else문만 쓰면 되는 걸 왜 번거롭게 또 switch문을 배워 사용해야되는지 몰랐다. 대충 이야기를 듣자하니 "switch문이 더 성능이 좋대" 였다. 손에 익어야 쓰지~ 라며 막연하게 if else문 위주로 사용하던 나였는데 어느날 switch문의 간편함을 깨닫고 '그래, 성능도 더 좋은 switch문을 써보자.' 라는 다짐과 함께 switch문을 익혔고 이제는 switch문이 조금 더 편해졌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왜 switch문이 더 좋은지 알아보겠다. 1️⃣ if else문부터 보자.fun lunch(점심메뉴) { if(점심메뉴 == "떡볶이"){ ..
❓ 콜라문제(중략) 이 문제는 빈 병 a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b병을 주는 마트가 있을 때, 빈 병 n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기존 콜라 문제와 마찬가지로, 보유 중인 빈 병이 a개 미만이면, 추가적으로 빈 병을 받을 순 없습니다. 상빈이는 열심히 고심했지만, 일반화된 콜라 문제의 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상빈이를 도와,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세요.콜라를 받기 위해 마트에 주어야 하는 병 수 a, 빈 병 a개를 가져다 주면 마트가 주는 콜라 병 수 b,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빈 병의 개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상빈이가 받을 수 있는 콜라의 병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풀이// a개의 빈 콜라..
깨비도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